보통 몇 억짜리 집이 있거나, 국민연금을 받고 계신 분들이라면 “나는 기초연금하고는 거리가 멀겠지...” 그렇게 생각하시고 아예 신청도 안 해보는 경우가 정말 많아요. 제 주변에도 그런 분들 여럿 계셨어요.
집이 있으니 안 될 거라고, 연금을 받으니 대상이 아닐 거라고, 자기 기준으로 스스로 선을 그어버리시더라고요.
그런데 막상 같이 신청해 보자고 권유해서 해보면 생각보다 쉽게 대상자로 확인되는 경우가 진짜 많습니다.
요즘은 집값이 몇억이 넘어도, 국민연금 수령 중이어도, 소득인정액 기준만 충족하면 기초연금 수급이 충분히 가능해요.
괜히 어렵게만 느껴지고, 나는 아닐 거야" 싶어서 포기하셨다면 오늘 글을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이해하기 쉽게 하나씩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기초연금이란?
2️⃣ 수급 자격 조건 (2025년 기준)
3️⃣ 실제 예시 – 이런 분도 받으셨어요
4️⃣ 제외 대상 및 유의사항
5️⃣ 월 지급액 & 국민연금과의 관계
6️⃣ 신청 시기와 방법
7️⃣ 꼭 알아야 할 팁과 마무리 정리
1️⃣ 기초연금이란?
흔히 '노인연금'이라고 불리는 건 사실은 '기초연금'입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하는 분들에게 정부가 매달 지급하는 복지성 연금이에요.
- 기초연금: 보건복지부가 지급, 소득이 적은 어르신 대상
- 국민연금: 내가 낸 보험료를 기반으로 받는 연금
두 제도는 다르기 때문에 국민연금을 받고 있어도 기초연금을 중복 수령할 수 있어요. 이 부분이 오해가 많은 포인트입니다!
2️⃣ 수급 자격 조건 (2025년 기준)
- 나이: 만 65세 이상 (1960년생부터)
- 국적: 대한민국 국적 & 실제 국내 거주
- 소득인정액 기준: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소득인정액이란? 단순 월급이 아니라 실제 소득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 금융자산, 자동차, 주택 등이 포함됩니다.
3️⃣ 실제 예시 – 이런 분도 받으셨어요
72세 어르신, 서울에 시세 6억 5천만 원짜리 아파트 보유, 예금 500만 원, 소득 거의 없음.
👉 환산 결과: 소득인정액 약 월 190만 원 → 기준선 228만 원보다 낮아서 수급 가능
이처럼 집이 있어도 소득이 낮으면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4️⃣ 제외 대상 및 유의사항
-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령자는 원칙적으로 제외
- 상위 30% 고소득자는 제외되지만, 기준은 매년 달라지고 유연하게 적용되므로 시도 필수
국민연금 수령자는 기초연금과 병행 수령 가능하며, 일부 감액은 있지만 여전히 혜택입니다.
5️⃣ 월 지급액 & 국민연금과의 관계
- 2025년 기준 최대 금액
- 단독가구: 월 최대 342,510원
- 부부가구: 월 최대 548,000원
- 국민연금과 동시 수령 가능 (단, 일정 금액 이상 시 일부 조정)
6️⃣ 신청 시기와 방법
- 시기: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 방법:
- 복지로 온라인 신청: bokjiro.go.kr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국민연금공단 지사 직접 방문
- 자녀 등 대리 신청도 가능 (위임장 필요)
필요 서류: 신분증, 통장 사본, 소득 및 재산 증빙서류 등
(대부분 센터에서 도와주므로 부담 갖지 마세요)
7️⃣ 꼭 알아야 할 팁과 마무리 정리
- 상담 서비스 활용: 1355에 전화하면 방문 상담 신청 가능
- 소급 지급 가능: 신청이 늦어도 생일 기준으로 소급 가능
- 매년 기준 완화: 작년 안 됐더라도 올해는 가능할 수 있음
“나는 해당 안 될 것 같아...”
이 한마디로 매달 수십만 원을 놓치고 계신 건 아닐까요?
1분만 투자해서 모의계산기 돌려보고, 신청 가능성 꼭 확인하세요.
주변 어르신께도 꼭 공유해주세요. 진짜 되는 분들, 정말 많아요. 😊
#기초연금 #노인복지 #2025기초연금 #65세이상혜택 #국민연금동시수령 #복지정책 #노후준비 #정부지원
'정부정책, 지원금&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7월에 시행하는 문화비(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제도 확장 정리 (4) | 2025.07.01 |
---|---|
조회수만 올리지 마세요 – 정부가 주는 SNS 지원금, 지금 확인하세요 (1) | 2025.06.30 |
“이사 가기 전에 꼭 확인! 2025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제도 총정리” (0) | 2025.06.27 |
신청만 하면 최대 100만 원 지급? 정부 ‘한시지원금’ 모음집 (1) | 2025.06.27 |
한부모가정 지원금, 매달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최신 금액 (2) | 2025.06.27 |